이미지 확대/축소가 가능합니다.



도파민 홍수 시대

우리 삶을 회복할 수 있는

가장 강렬한 삶의 형태는 ‘무위’다!


재독 철학자 한병철이 현대 사회에 잊힌 덕목인 ‘관조적 삶Vita contemplativa’을 재조명하며, ‘무위하는 삶’에 찬사를 보낸다. 신간의 제목은 ≪관조하는 삶≫. 성취 욕망과 인스턴트식 도취에 붙들린 현대인들에게 특별한 삶의 태도를 요청하는 비평서다. 이 책은 우리에게 무언가를 더 해야만 한다는 강박에서 벗어나 ‘의도와 목적’을 띤 활동을 멈추고(무위無爲), 그 순간 ‘마법’처럼 드러나는 세계의 참모습을 바라볼 것(관조觀照)을 주문한다.


한병철에 따르면, 오늘날 성과사회의 잔인한 경쟁에 내몰린 사람들은 고립과 외로움 속에서 ‘절대적인 존재 결핍’을 겪고 있다. 사람들은 자신의 ‘존재 결핍’을 메우기 위해 더 바쁘게 일하고, 더 열심히 소비하며, 여가마저도 정신없는 놀이와 빽빽한 일정으로 채운다. 그들에게 ‘강렬한 삶’은 더 많은 노동, 성취, 소비, 자극을 의미한다. 하지만 저자는 ‘행위의 쳇바퀴’(행위하는 삶)에 머물러서는 진정한 행복과 안식이 불가능하다고 진단한다. 오히려 “아무것도 생산하지 않는 무위”야말로 “삶의 강렬한 형태”라고 추켜세운다.


이 책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부터 초기 낭만주의자, 현대 철학자까지 주요 사상가들(플라톤, 노발리스, 한나 아렌트, 니체, 발터 벤야민 등)의 글과 주요 개념들을 폭넓게 인용, 또는 반박하면서 ‘무위’의 숨겨진 역할과 가치, 창조적 힘에 주목한다. 독자들은 이 책에 실린 섬세한 비평을 통해 한병철 특유의 미학적이고 날카로운 통찰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.

목차

무위의 풍경들

장자에게 붙이는 사족

행위에서 존재로

절대적인 존재 결핍

행위하기의 열정

도래하는 사회


도판 출처

글쓴이  : 한병철
1959년 서울 출생. 고려대학교에서 금속공학을 전공했고, 브라이스가우의 프라이부르크대학교와 뮌헨대학교에서 철학, 독일문학, 가톨릭 신학을 공부했다. 베를린예술대학교 철학·문화학 교수를 지냈다. 전 유럽과 한국에서 큰 반향을 일으킨 ≪피로사회≫를 비롯하여 ≪오늘날 혁명은 왜 불가능한가≫ ≪정보의 지배≫ ≪사물의 소멸≫ ≪리추얼의 종말≫ ≪고통 없는 사회≫ ≪폭력의 위상학≫ ≪땅의 예찬≫ ≪투명사회≫ ≪심리정치≫ ≪타자의 추방≫ ≪시간의 향기≫ ≪에로스의 종말≫ ≪아름다움의 구원≫ ≪선불교의 철학≫ ≪권력이란 무엇인가≫ ≪죽음과 타자성≫ ≪서사의 위기≫ 등 예리하고 독창적인 사회 비평서와 철학책을 썼다.

역자 : 전대호
서울대학교에서 물리학을 공부한 후 칸트의 공간론에 관한 논문으로 같은 대학에서 철학 석사학위를 받았다. 독일학술교류처의 장학금으로 쾰른으로 유학, 헤겔의 논리학에 나오는 양적 무한 개념을 주제로 박사논문을 쓰던 중 귀국해 번역가로 정착했다. ≪철학은 뿔이다≫를 썼고, ≪정신현상학 강독 1, 2≫를 옮기고 썼으며, 시집 ≪가끔 중세를 꿈꾼다≫ ≪성찰≫을 냈다. ≪물은 H₂O인가?≫ ≪위대한 설계≫ ≪기억을 찾아서≫ ≪로지코믹스≫ ≪헤겔≫(공역) ≪초월적 관념론 체계≫ ≪나는 뇌가 아니다≫ 등 많은 책을 번역했다.